사자개, 사자견, 티벳탄마스티프, 티베탄 마스티프 가격, 티베탄 마스티프 분양, 마스티프 분양 등등 정보 모음
전에 자세히 알아볼께요!
안녕하세요.
오늘은 티베탄 마스티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티베탄 마스티프
[ Tibetan Mastiff]
요약 오랜 역사를 지닌 티베트의 고대 견종이다.
계
동물
문
척삭동물
강
포유류
목
식육목
과
개과
멸종위기등급
미평가(NE : Not Evaluated, 출처 : IUCN)
크기
수컷 최소 66cm, 암컷 최소 61cm
무게
수컷 41~68kg, 암컷 32kg~54kg
몸의 빛깔
적색, 회색, 갈색, 청색, 흑색, 은색, 금색 등 단색 또는 일부 갈색이나 흰색 반점
수명
10~12년
분포지역
티베트
티베트 원산이다. 오래된 품종인데다 고립되어 있었기 때문에 티베탄 마스티프에 대한 정확한 역사가 밝혀진 바가 없다. 묶인 개라는 의미의 ‘도-키이(Do-khyi)’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오랫동안 성문에 묶여 번견으로서의 역할을 해왔기 때문이다. 티베트의 개라는 의미로 네팔에서는 ‘보테 쿠쿠르(Bhote Kukur)’, 중국에서는 ‘짱아오[藏獒]’, 몽골에서는 경비견이라는 의미로 뱅크할(bankhar)이라고 한다. 과거 티베트 여행자들은 종종 본 품종을 선물로 받았으며, 이들에 의해 뉴펀들랜드, 세인트 버나드, 쿠바스 같은 중아시아와 유럽의 마스티프 종들을 만들어내는데 기여한 것으로 추정한다. 티베트에서는 수호신이 되지 못한 승려들이 본 품종으로 환생한다는 전설이 있어 매우 신성한 동물로 여겨진다.
역사
티베탄 마스티프(도키)는 먼 옛날부터 히말라야 지역의 유목민들의 일을 돕고 티벳 수도승들을 지켜온 전통적인 견종이다. 고대에 처음 발견된 이후로 늘 티베탄 마스티프에 관한 신화와 같은 이야기들이 따라다녔다. 아리스토텔레스(기원전 384 - 322년)가 남긴 글부터 1271년 아시아 대륙에 첫 발을 들인 마르코 폴로의 기록에 이르기까지, 티베탄 마스티프는 신체적, 정신적인 측면 모두 태생적으로 건강하고 인상적인 견종으로 전해진다. 독특한 짖는 소리도 사람들이 좋아하는 특징이었다. 마틴(Martin), 유아트(Youatt), 메그닌(Megnin), 베크먼(Beckmann), 시버(Siber), 스트레벨(Strebel), 빌란츠(Bylandt) 등 유럽의 유명한 애견 학자들도 티베탄 마스티프의 기원과 티벳 문화에서 담당한 역할에 주목하며 큰 관심을 기울였다. 일부 학자들은 티베탄 마스티프가 대형 마운틴 타입의 마스티프 견종 전체의 조상이라고 여기기도 했다.
서구 지역에 최초로 유입된 시기는 1847년으로, 인도 총독이던 하딘지 경(Lord Hardinge)이 빅토리아 여왕에게 보낸 티베탄 마스티프 수컷이 그 주인공이었다. 1880년대에는 에드워드 7세(웨일즈 왕자)가 티베탄 마스티프 두 마리를 잉글랜드로 데리고 갔다고 한다. 1898년에 베를린 동물원에서 티베탄 마스티프 새끼가 태어났다는 기록도 남아 있다. 티베탄 마스티프는 옛날부터 히말라야 지역의 유목민들의 일을 돕고 티벳 수도승들을 지켜온 전통적인 견종이다. 큰 체구와 탄탄한 골격에서 근엄하고 진지한 인상이 느껴진다. 명령을 잘 따르고 가족과 자신이 속한 곳에 충성한다.
티베트에서는 강아지 때부터 묶어두어 공격성을 강화시켜, 낮에는 묶어두고 밤에는 풀어두어 마을과 가축을 지키는 경비견으로 이용하기도 한다. 성격이 사납고, 털을 기르면 외형까지 사자를 닮아 ‘사자견’이라고도 불린다. 20세기 초 영국으로 여러 차례 도입을 시도하였으나 번식에 실패하여 티베트 이외의 지역에서는 사육이 불가능하다고 여겨 동물원에 전시되기도 하였다. 1931년이 되어서야 번식에 성공하였으며 이후 개량과정을 거쳐 성격이 많이 온화해졌다. 2011년에는 중국의 한 부호가 본 품종을 구매하기 위해 100만 위안 지불하면서 세계에서 가장 비싼 개라는 별칭을 얻었다.
외관
머리
넓적하고 큼직하며 튼튼하다. 성견의 경우 눈 윗부분에서 입 가장자리까지 주름이 길게 이어지는 경우도 있다.
두부
• 두개골: 큼직하고 아주 약간 둥글다. 후두부가 크게 돌출되어 있다.
• 스톱: 뚜렷하게 구분된다.
안면부
• 코: 넓적하다. 모색에 따라 색이 최대한 짙을수록 좋다. 콧구멍도 큼직하다.
• 주둥이: 꽤 넓은 편이며 가로, 세로 모두 길다. 끝 부분은 정사각형 모양이다.
• 입술: 잘 발달된 편이며 아래턱을 넓게 차지한다.
• 턱/이빨: 아래위 턱 모두 튼튼하다. 이빨은 구성이 완전하게 갖추어져야 한다. 이빨이 가지런히 배열되어 있으며 윗니의 앞니가 아랫니의 앞니를 덮고 단단히 맞물리면서 턱과 정사각형을 이루는 협상교합을 형성한다. 절단교합도 허용된다. 이빨은 턱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다.
• 눈: 크기는 중간 정도이다. 색은 모색에 따라 다양한 농도의 갈색(brown) 계열이며 짙을수록 좋다. 미간이 멀다. 타원형에 가까우며 아래로 약간 비스듬하게 처진 편이다. 눈꺼풀은 안구와 밀착되어 있다. 근엄한 표정이 느껴진다.
• 귀: 크기는 중간 정도로 삼각형이며 아래로 늘어뜨리고 있다. 두개골 윗면과 두 눈의 중간쯤 되는 높이에 자리하며, 머리에 밀착되어 앞쪽으로 늘어뜨리고 있다. 경계하면 위로 들어 올린다. 귀 뒷면에는 부드럽고 짧은 털이 덮여 있다.
목
튼튼하고 근육이 잘 발달되어 있다. 아치 모양으로 굽어 있다. 앞부분에 처진 살이 과도하게 형성되지 않아야 한다. 목덜미에는 꼿꼿하게 서 있는 갈기 털이 두툼하게 자라지만 암컷의 경우 갈기가 크게 두드러지지 않는다.
몸통
튼튼하다.
• 등: 곧게 뻗어 있고 근육질이다.
• 엉덩이: 넓적하고 다소 평평한 편이다.
• 가슴: 세로길이가 길고 적당히 넓적하다. 늑골은 충분히 휘어져 흉곽이 전체적으로 하트 모양에 가깝다. 앞가슴은 앞다리 무릎까지 깊게 이어진다.
꼬리
길이는 중간 정도로 엉덩이에서 등선에 가깝게 높은 곳에 자리한다. 경계하거나 움직일 때는 꼬리를 느슨하게 말아서 등 위로 높이 들어올린다. 긴 장식 털이 풍성하게 자란다.
사지
앞다리
• 전체적인 모습: 일자로 곧게 뻗어 있고 각 부분이 충분한 각을 형성한다. 다리 전체에 튼튼한 털이 덮여 있다.
• 어깨: 뒤로 충분히 젖혀진 모양이며 근육질이다.
• 무릎: 방향이 안쪽으로나 바깥쪽으로 치우치지 않아야 한다.
• 전완: 일자로 곧게 뻗어 있다. 뼈가 튼튼하다.
• 발목: 튼튼하고 약간 비스듬하다.
뒷다리
• 전체적인 모습: 탄탄한 근육질이다. 각 부분이 충분한 각을 이룬다. 뒤에서 보면 두 다리가 서로 평행을 이룬다.
• 허벅지 상부: 다소 긴 편이다. 튼튼하고 단단한 근육이 형성되어 있으나 불룩하게 튀어나온 형태는 아니다.
• 무릎: 충분히 굽어 있다.
• 비절: 튼튼하다. 바닥 쪽으로 낮게 내려가 있다.
며느리발톱은 선택 사항이다.
• 발: 상당히 크고 튼튼하며 둥글다. 발가락은 꼭 쥐고 있다. 발가락은 위로 볼록하고 사이사이에 털이 풍성하게 자란다.
걸음걸이/움직임
걸음걸이에 힘이 넘치면서도 늘 가볍고 유연함이 느껴진다. 보폭이 넓고 추진력도 우수하다. 속도가 증가하면 일직선으로 걷는 경향이 나타난다. 매우 찬찬하고 침착하게 걷는다. 강한 체력과 유연성을 갖추고 있어 다양한 지형에서도 맡은 일을 해낼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티베탄 마스티프 [Tibetan Mastiff] (KKF 견종 표준서, 2017. 12., 사단법인 한국애견연맹)
수컷의 키는 최소 66cm, 암컷은 최소61cm이며 무게는 수컷이 41~68kg, 암컷은 32~54kg으로 수컷이 암컷보다 크다. 크고 두꺼운 주둥이를 가지고, 귀는 중간 크기의 V자형으로 아래로 처져있으며, 경계시에는 위로 선다. 티베트의 험난한 환경에 잘 적응하기 위한 튼튼한 신체를 가지며, 꼬리는 위로 말려 등에 붙어 있다. 짧고 촘촘한 속털과 길고 거친 겉털로 이루어진 이중모를 가지며 사자와 같은 갈기 장식 털을 가진다. 색은 검정색, 갈색, 청회색, 밝은은색, 금색, 붉은금색 등 다양한 색이 있으며, 눈 위나 눈 주위, 주둥이 옆부분, 목, 다리 앞쪽이나 안쪽, 꼬리 아래, 다리 관절 아래 등에 갈색 또는 흰색의 반점이 있는 경우도 있다.
성격 및 관리
이중모이지만 털이 거칠고 두터워 모량에 비해 잦은 손질이 필요하진 않지만 늦봄이나 여름철 털갈이 시기엔 많은 양의 속털이 빠지고 평소에도 털 빠짐이 심한편이다. 활동성은 평균으로 적당한 산책이 필요하다. 지구력이 좋은 편은 아니므로 운동량이 많은 원반 던지기 등의 운동은 선호되지 않는다. 다소 고집이 강하여 명령을 무시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복종훈련이 필수이다. 무는 힘이 강해 산책 시 입마개를 하는 것이 좋다. 다른 품종에 비해 비교적 건강한 편이나 주기적인 건강검진이 필요하다. 수명은 10~12년이다.
'반려동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짖지 않는 개! 바센지, 파라오 하운드 (0) | 2020.12.09 |
---|---|
미니어처 핀셔 키우기 (0) | 2020.12.09 |
강아지미용, 강아지목욕 (0) | 2020.12.07 |
강아지훈련, 강아지 배변훈련 (0) | 2020.12.07 |
강아지 훈련법, 강아지 키우기 (0) | 2020.12.07 |
댓글